감정의 파편을 미완의 문장으로 풀어낸 김휘 개인전 ‘DEAR!?’ 7월 15일까지 아이테르 범일가옥에서 개최
Dailymunwha
Life Style and Design & Art Magazine
Best
Sponsored Section
피플앤콘텐츠 영상제작팀
지금 이 순간 필요한 영상 제작의 솔루션을 맞춤 제공해드립니다. 기업 영상 및 교육 영상 전문, 제품 홍보, 인터뷰 영상, 바이럴 광고 영상 등 1:1상담
피플앤콘텐츠 영상제작팀지금 이 순간 필요한 영상 제작의 솔루션을 맞춤 제공해드립니다. 기업 영상 및 교육 영상 전문, 제품 홍보, 인터뷰 영상, 바이럴 광고 영상 등 1:1상담
웹에이전시 무이(MUE:)
프리미엄 반응형 홈페이지 제작. 16년 경력의 웹에이전시로 다양한 솔루션(회원수첩솔루션, 음성AI해설 솔루션, 푸드트립, 원페이지웹) 을 제작하는 웹전문 솔루션업체입니다.
웹에이전시 무이(MUE:)프리미엄 반응형 홈페이지 제작. 16년 경력의 웹에이전시로 다양한 솔루션(회원수첩솔루션, 음성AI해설 솔루션, 푸드트립, 원페이지웹) 을 제작하는 웹전문 솔루션업체입니다.
갤러리보이스
QR코드 활용한 전시장, 작품 등에 대한 음성 해설 서비스 제작. 온라인 도슨트. QR코드를 활용하여, 전시작품에 대한 해설을 녹음한 음성파일로 연결하는 서비스 AI 음성 해설, QR코드 자동 제작 서비스
갤러리보이스QR코드 활용한 전시장, 작품 등에 대한 음성 해설 서비스 제작. 온라인 도슨트. QR코드를 활용하여, 전시작품에 대한 해설을 녹음한 음성파일로 연결하는 서비스 AI 음성 해설, QR코드 자동 제작 서비스
언론홍보를 통한 브랜딩 시작, 쉽고 빠른 언론홍보!
디지털마케팅 전문가 그룹 토리커뮤니케이션에서는 언론홍보 컨설팅 및 쉽고 빠른 진행을 도와드립니다. 지금 문의 해 보세요!
언론홍보를 통한 브랜딩 시작, 쉽고 빠른 언론홍보!디지털마케팅 전문가 그룹 토리커뮤니케이션에서는 언론홍보 컨설팅 및 쉽고 빠른 진행을 도와드립니다. 지금 문의 해 보세요!
CULTUREPLE
365일 아트디자인 챌린지
CULTUREPLE365일 아트디자인 챌린지
부산 동구 범일로에 위치한 전시공간 ‘아이테르 범일가옥’에서 시각예술가 김휘의 개인전 ‘DEAR!?’가 오는 7월 15일까지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하나의 서사나 해답을 제시하는 대신 감정이 흐르고 머무는 구조를 설계하며, 관람자가 ‘응시’와 ‘자문’의 상태로 전시 공간을 체험하도록 이끈다.
‘DEAR!?’는 제목부터가 미완의 문장이다. 다정한 인사를 건네는 듯한 ‘DEAR’에 ‘!’의 울림과 ‘?’의 불확실함이 덧붙여진 이 구조는, 감정을 정리하거나 설명하려는 시도가 아니라 끝내 말해지지 못했던 감정의 편린 자체를 전시의 언어로 삼는다. 작가는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낸 후 감정의 단절을 경험하며 감정은 언어가 닿지 않는 곳에서 머물러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고, 그 질문이 이번 전시의 출발점이 됐다.
작가 김휘는 감정의 구조와 감각의 층위를 탐구하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그는 과잉 정보와 무수한 취향이 빠르게 생성되고 소멸하는 시대에 거대한 담론보다 개인의 내면에 작용하는 정서의 작은 파동에 주목한다. 회화와 영상, 오브제, 사운드, 인공지능 분석 등 다양한 매체와 분야의 접점을 통해 그는 감정을 단일한 언어나 메시지로 환원하지 않고, 다층적이고 유동적인 감각으로 해석한다.
전시장소인 아이테르 범일가옥은 본래 사람이 살던 오래된 집이다. 손때 묻은 문고리, 벽지의 낡은 겹, 삐걱이는 문지방 등 공간에 남겨진 시간의 자국들은 작품과 어우러져 감정의 지층으로 기능한다. 작가는 이 공간을 ‘감정의 해석이 이뤄지는 실험실이자 기억이 스며든 질문의 방’이라고 표현한다. 하얀 벽의 갤러리 대신 정서적으로 겹겹이 쌓인 장소에서 관람자는 자신의 감정을 되짚고 스스로 해석하는 ‘감정의 경험자’로 거듭난다.
이번 전시에는 김휘의 대표작과 신작들이 소개된다.
‘무제’는 ‘우산 속에만 비가 내리는’ 역설적 장면을 통해 감정을 피할 수 없는 것으로, 그리고 때로는 무력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것으로 표현한다. 또한 ‘꿈’은 그리움과 상실이 현실과 교차하며 스며드는 복합적인 정서를 은유한다.
이외에도 관객의 정서적 인지에 반응하는 설치작업과 영상, 텍스트, 음향이 혼합된 다매체 작업들이 전시장 곳곳에 펼쳐진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적 협업이 주목된다.
AI 기반 감정 분석을 연구하는 김수민 박사, 사운드를 시각화한 협업을 진행한 힙합 아티스트 TTOCHII, 그리고 감정적 리듬을 영상으로 구현한 디자이너 박현준과의 협업은 감정이 언어 바깥에서도 교차되고 해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감정의 표현이 단일한 기호로 환원되지 않는다는 작가의 철학을 매체 간 실험을 통해 실현한 결과다.
김휘는 이번 전시에서 예술이 해답이 아닌 질문으로 남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의 작품은 감정을 하나의 결론이나 완성된 서사로 제시하지 않는다. 오히려 관람자가 각자의 방식으로 감정의 단면과 조우하고, 그 틈 사이에서 의미를 떠올리도록 구성된다.
그는 “전시는 설명이 아니라 응시를 권하는 자리”라며 “말해지지 않은 감정의 파편들이 타인에게 가닿을 수 있는 가능성 그 자체가 예술”이라고 말한다.
김휘 개인전 ‘DEAR!?’는 관람객 각자가 ‘지금 나는 어떤 감정의 구조 속에 있는가?’라는 질문을 품고 공간을 걷게 한다. 감정은 여전히 미완의 문장으로 남아 있으며, 그 열린 문장은 관람자의 감정과 상상에 따라 새롭게 이어질 것이다.